인생은 여행 人生は旅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3 (정렬,리버스,리무브,인서트) 본문
리스트 정렬 - sort
sort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 a = [1, 4, 3, 2]
>>> a.sort()
>>> a
[1, 2, 3, 4]
문자 역시 알파벳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 a = ['a', 'c', 'b']
>>> a.sort()
>>> a
['a', 'b', 'c']
리스트 뒤집기 - reverse
reverse 함수는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준다. 이때 리스트 요소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다시 역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리스트를 그대로 거꾸로 뒤집는다.
>>> a = ['a', 'c', 'b']
>>> a.reverse()
>>> a
['b', 'c', 'a']
인덱스 반환 - index
index(x) 함수는 리스트에 x 값이 있으면 x의 인덱스 값(위칫값)을 리턴한다.
Copy>>> a = [1, 2, 3]
>>> a.index(3)
2
>>> a.index(1)
0
리스트에 요소 삽입 - insert
insert(a, b)는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하는 함수이다.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센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 a = [1, 2, 3]
>>> a.insert(0, 4)
>>> a
[4, 1, 2, 3]
위 예는 0번째 자리, 즉 첫 번째 요소인 a[0] 위치에 값 4를 삽입하라는 뜻이다.
>>> a.insert(3, 5)
>>> a
[4, 1, 2, 5, 3]
위 예는 리스트 a의 a[3], 즉 네 번째 요소 위치에 값 5를 삽입하라는 뜻이다.
리스트 요소 제거 - remove
remove(x)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 a = [1, 2, 3, 1, 2, 3]
>>> a.remove(3)
>>> a
[1, 2, 1, 2, 3]
a가 3이라는 값을 2개 가지고 있을 경우, 첫 번째 3만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opy>>> a.remove(3)
>>> a
[1, 2, 1, 2]
remove(3)을 한 번 더 실행하면 다시 3이 삭제된다.
갈수록 어렵네요 ㅎㅎㅎ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딕셔너리 자료형 1(쌍추가,요소삭제,주의사항) (0) | 2024.03.04 |
---|---|
파이썬 - 튜플 자료형 (0) | 2024.02.29 |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2(반복,길이,del,append) (2) | 2024.02.27 |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1(인덱싱,슬라이싱,리스트 연산) (0) | 2024.02.26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바꾸기,나누기) (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