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여행 人生は旅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소수점 표현) 본문
문자열 자료형
a = "I eat %s apples." % "five"
print(a)
문자열 안에 또 다른 문자열을 삽입하기 위해 %s
숫자를 넣기 위해서는 %d
문자열 포맷 코드
%s | 문자열(String) |
%c | 문자 1개(character) |
%d | 정수(Integer) |
%f | 부동소수(floating-point) |
%o | 8진수 |
%x | 16진수 |
%% | Literal % (문자 % 자체) |
소수점 표현하기
%10.4f" % 3.42134234 :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표현하기
= > 3.4213 ( 위 예문은 소수점 네 번째 자리까지 표시하고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서 오른쪽으로 정렬)
. 은 소수점 포인트, 그 뒤의 숫자 4는 소수점 뒤에 나올 숫자의 개수
소수점 포인트 앞의 숫자는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의미. 0을 쓰면 길이에 상관하지 않겠다는 의미.
format 함수를 사용한 포매팅
"I eat {0} apples".format(3) : 'I eat 3 apples' (숫자 대입)
"I eat {0} apples".format("five") : 'I eat five apples' (문자열 대입)
number = 3
"I eat {0} apples".format(number)
'I eat 3 apples' (숫자 값을 가진 변수로 대입)
오우, 생각보다 배워야 할 것이 무궁무진한 느낌 ^^
오늘도 조금 공부해 보았습니다.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바꾸기,나누기) (0) | 2024.02.23 |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포맷팅) (0) | 2024.02.22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스트링) (0) | 2024.02.20 |
파이썬 기초 - 숫자형 자료형 (2) | 2024.02.19 |
파이썬 둘러보기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