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여행 人生は旅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바꾸기,나누기) 본문
문자열 바꾸기 - replace
>>> a = "Life is too short"
>>> a.replace("Life", "Your leg")
'Your leg is too short'
replace 함수는 replace(바뀔_문자열, 바꿀_문자열)처럼 사용해서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다른 값으로 치환해 준다.
a = "Life is too short"
print (a.replace("Life","Your leg"))
문자열 나누기 - split
>>> a = "Life is too short"
>>> a.split()
['Life', 'is', 'too', 'short']
>>> b = "a:b:c:d"
>>> b.split(':')
['a', 'b', 'c', 'd']
split 함수는 a.split()처럼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어 주지 않으면 공백([Space]], [Tab], [Enter])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준다. 만약 b.split(':')처럼 괄호 안에 특정 값이 있을 경우에는 괄호 안의 값을 구분자로 해서 문자열을 나누어 준다. 이렇게 나눈 값은 리스트에 하나씩 들어간다. ['Life', 'is', 'too', 'short']나 ['a', 'b', 'c', 'd']가 리스트인데, 02-3에서 자세히 알아볼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너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앞에서 소개한 문자열 관련 함수는 문자열 처리에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고 유용하다. 이 밖에도 몇 가지가 더 있지만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a = "Life is too short"
print (a.split())
a = "a:b:c:d"
print (a.split(":"))
a = "a:b:c:d"
print (a.split())
( " : " ) 을 넣어주지 않으면 문자열이 나눠지지 않는다.
여기까지 문자열 자료형 끝~!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2(반복,길이,del,append) (2) | 2024.02.27 |
---|---|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1(인덱싱,슬라이싱,리스트 연산) (0) | 2024.02.26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포맷팅) (0) | 2024.02.22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소수점 표현) (0) | 2024.02.21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스트링)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