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여행 人生は旅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포맷팅) 본문
왼쪽 정렬
>>> "{0:<10}".format("hi")
'hi '
:<10 표현식을 사용하면 치환되는 문자열을 왼쪽으로 정렬하고 문자열의 총자릿수를 10으로 맞출 수 있다.
오른쪽 정렬
>>> "{0:>10}".format("hi")
' hi'
오른쪽 정렬은 :< 대신 :>을 사용하면 된다. 화살표의 방향을 생각하면 어느 쪽으로 정렬되는지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수점 표현하기
>>> y = 3.42134234
>>> "{0:0.4f}".format(y)
'3.4213'
위는 format 함수를 사용해 소수점을 4자리까지만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앞에서 살펴보았던 표현식 0.4f를 그대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 "{0:10.4f}".format(y)
' 3.4213'
위와 같이 자릿수를 10으로 맞출 수도 있다. 이 또한 앞에서 살펴본 10.4f의 표현식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위쪽에 나오는 개념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
f 문자열 포매팅
>>> age = 30
>>> f'나는 내년이면 {age + 1}살이 된다.'
'나는 내년이면 31살이 된다.'
딕셔너리는 f 문자열 포매팅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d = {'name':'홍길동', 'age':30}
>>> f'나의 이름은 {d["name"]}입니다. 나이는 {d["age"]}입니다.'
'나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30입니다.'
문법을 다 외울 필요는 없고, chatGPT 에게 물어보면 된다! ^^
문자 개수 세기 - count
>>> a = "hobby"
>>> a.count('b')
2
count 함수로 문자열 중 문자 b의 개수를 리턴했다.
위치 알려 주기 1 - find
>>>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 a.find('b')
14
>>> a.find('k')
-1
왼쪽 공백 지우기 - lstrip
>>> a = " hi "
>>> a.lstrip()
'hi '
lstrip 함수는 문자열 중 가장 왼쪽에 있는 한 칸 이상의 연속된 공백들을 모두 지운다. lstrip에서 l은 left를 의미한다.
오른쪽 공백 지우기 - rstrip
>>> a= " hi "
>>> a.rstrip()
' hi'
rstrip 함수는 문자열 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한 칸 이상의 연속된 공백을 모두 지운다. rstrip에서 r은 right를 의미한다.
양쪽 공백 지우기 - strip
>>> a = " hi "
>>> a.strip()
'hi'
문자열 바꾸기 - replace
>>> a = "Life is too short"
>>> a.replace("Life", "Your leg")
'Your leg is too short'
replace 함수는 replace(바뀔_문자열, 바꿀_문자열)처럼 사용해서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다른 값으로 치환해 준다.
별로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라 그런지 수업진행 속도가
너무너무 빠르다 ㅎㅎ
그냥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기~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1(인덱싱,슬라이싱,리스트 연산) (0) | 2024.02.26 |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바꾸기,나누기) (0) | 2024.02.23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소수점 표현) (0) | 2024.02.21 |
파이썬 - 문자열 자료형(스트링) (0) | 2024.02.20 |
파이썬 기초 - 숫자형 자료형 (2)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