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딩 공부 (70)
인생은 여행 人生は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1HCU/btsDxMPYjF4/0rsaBtDZzrGkqmLqdEEPrK/img.png)
함수(Function) : 수납상자 입력(Parameter) : 매개변수 - 인자값을 받아서 함수 안으로 매개해 주는 변수 출력(Return) Argument : 인자 - 함수로 전달하는 값 DOCTYPE html> Function Basic function two(){ document.write('2-1'); document.write('2-2'); } document.write('1'); two(); document.write('3'); two(); Parameter & Argument Return Function Basic function two(){ document.write('2-1'); document.write('2-2'); } document.write('1'); two(); docume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rImR/btsDp4j1iuX/5jcoq5UKas8tOKUpyaJ0YK/img.png)
Loop & Array var coworkers = ['egoing','leezche','duru','taeho','graphittie']; Co workers var i = 0; while(i < 5){ document.write(''+coworkers[i]+''); i= i +1; } 배열 : 순서대로 서로 연관된 데이터를 정리 반복문 : 순서대로 배열에 담긴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서 자동화 처리 Loop & Array var coworkers = ['egoing','leezche','duru','taeho']; Co workers var i = 0; while(i < coworkers.length){ document.write(' '+coworkers[i]+''); i= i +1; } ... Jav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H7Nb/btsDjXTaZu3/ixynj678LZBoNHkjo8fyZ1/img.png)
배열 : 서로 연관된 데이터를 수납하는 상자 array Array Syntax var coworkers = ["egoing","leezche"]; get document.write(coworkers[0]); document.write(coworkers[1]); 변수 var coworkers = 첫 번째는 egoing, 두 번째는 leezche 가 들어있고 순서는 0부터 시작이 되어서 0을 지정해 주면 egoing이 출력되고, 1을 지정해주면 leezche 가 출력된 Loop document.write('1'); var i = 0; while(i < 3){ document.write('2'); document.write('3'); i = i + 1; } document.write('4'); JavaScr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wtztS/btsDkPF8Nw0/R6rLpCprQwme7zbdDgx7GK/img.png)
WEB WEB 위 코드를 아래와 같이 줄여서 간소화시켰다 :0 리팩토링 - 우리가 만든 코드에서 비효율적인 코드를 제거하기. 이 코드로 아랫쪽에도 낮, 밤 전환 버튼을 하나 더 생성. WEB var traget = document.querySelector('body') 를 넣어주면 target 만 쓰면 저 부분을 다 불러와준다. this = 자기 자신을 가리킴 이런식으로 코드를 굉장히 간편하게 줄일 수 있었다 :) 굉장히 좋아보이긴하는데 잘 적용할 수 있을지 ㅎㅎ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V2K7/btsDhWFNYx9/EydtwTSCCNYI1G7L2qhlNk/img.png)
=== : 비교 연산자 - 좌항과 우항의 관계에 따라서 true , false의 값을 만들어 낸다. true, false 두가지 값은 블리언이라고 한다. (Boolean) JavaScript - html Comparison operator & Boolean === 1===1 document.write(1===1); 1===2 document.write(1===2); 1<2 document.write(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vzJP/btsC85i2xO7/rfoOtuQaQnjnEcrFFk52qk/img.png)
style : 스타일 태그 안에 자바스크립트가 들어간다. 속성을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사용. ☀︎ 밤,낮 전환모드 ^^ WEB 이번엔 실습 성공 ^^ 필요한 태그들은 검색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고, 원하는 스타일로 변화를 줄 수 있다. 검색 능력도 중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KuwQ/btsC8UgPErV/Q6Zz9afwQ2dnBfVXo51Yk1/img.png)
변수 variable 상수 constant 대입연산자 ( = ) : 좌항과 우항을 결합해서 우항의 값을 만들어 낸다. 실행 유보 : shitf + Enter 변수 입력 : var name = ' ' ; 변수로 바꾸고 싶은 부분 : "+ +"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많은 상수를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변수와 대입연산자를 통해 웹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며칠 전부턴 chatGPT와 각종 AI를 이용하여 유튜브 동영상 제작도 해보고 있는데 조금 복잡한 부분들도 있지만, 의외로 영상과 음성편집이 저에게는 재미있게 다가오는 부분들이 있네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OaQq/btsC33LZsH6/XzkaoH7k4BZy1eXWtUZlr1/img.png)
JavaScript Data Type 검색 6개의 데이터 타입이 있다. 이번 시간에는 String 문자열을 알아보자. Console에서 alert(1); 을 입력하면 1이 출력 alert(1+1); 입력하면 2가 출력 알파벳. toUppercase() -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시켜 준다. 글자. length를 붙이면 몇 글자인지 알려준다 ^^ . indexof() - 괄호 안의 문자 몇 번째 열에서 시작되는지 알려준다. ' ' - 이렇게 감싸면 문자열로 인식한다. 숫자는 다른 데이터 타입이다. 문자열로 인식된 숫자는 계산식을 넣어도 계산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된다. 아주아주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내 머릿속에 있는 것들로 만 코딩을 하기엔 너무너무 어려운듯한 그런 느낌이네요 ^^